Column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ODA분야의 주요 이슈와 동향을 전달하고 CEO/ 전문가 칼럼, 프로젝트 리포트를 통해
스마트시티 기반 국제개발 전문지식 허브로서 포지셔닝 합니다.

Column

제목[특집]사우디 뉴무라바 스마트시티: 혁신과 기회의 새로운 지평2025-07-04 17:39
작성자 Level 10

[특집]사우디 뉴무라바 스마트시티: 혁신과 기회의 새로운 지평

뉴무라바 스마트시티 조감도

KakaoTalk_20250704_170915673.jpgKakaoTalk_20250704_171550975.jpg

KakaoTalk_20250704_163353473_01.jpg

사우디 뉴무라바 스마트시티 사업 비전

1. 프로젝트 개요

사우디아라비아의 뉴무라바(New Murabba) 스마트시티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추진하는 '비전 2030' 정책의 핵심 프로젝트이다. 사우디 정부는 공공투자펀드(PIF)를 통해 700억 달러(약 95조원)를 투입하여 수도 리야드에 14㎢ 규모의 미래형 스마트시티를 건설하고 있다.

2. 핵심 비전과 목표

뉴무라바 프로젝트는 30만 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 완공 시 10만 가구 주거시설 및 1만 개 호텔 객실을 건설하며, 2030년 1단계 완공을 목표로 한다. 또한 2034년 FIFA 월드컵 대비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뉴무라바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 발표자료 심층 분석

1. 파트너를 위한 전략적 기회 (100개 이상 이니셔티브)

첨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뉴무라바는 7개 스마트시티 차원에서 총 100개 이상의 이니셔티브를 추진한다:

  • 스마트 행정·거버넌스: 23개 이니셔티브 - 스테이크홀더 서비스 개선 및 운영 우수성 제공
  • 스마트 경제: 8개 이니셔티브 - 기업가정신 활성화 및 경제 활력 증진
  • 스마트 환경: 22개 이니셔티브 - 환경 영향 최소화 및 지속가능성 증진
  • 스마트 생활: 25개 이니셔티브 - 주민, 방문객, 근로자 삶의 질 향상
  • 스마트 모빌리티: 16개 이니셔티브 -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촉진
  • 스마트 보안: 13개 이니셔티브 - 주민 및 근로자 안전 보장
  • 스마트 ICT: 15개 이니셔티브 - 운영 효율성 및 복원력 제공

2. 5대 전략적 차별화 요소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센터 (SCIC)

발표자료에 따르면, SCIC는 뉴무라바의 스마트시티 관리, 혁신, 쇼케이스 활동의 중심지이다. 5개 핵심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 통합 운영센터(IOC): 스마트 지구 서비스 모니터링, 관리, 최적화
  • 보안 운영센터(SOC): 보안 및 안전 위협 모니터링 및 신속한 사고 대응
  • 인큐베이션 및 가속화 센터: 기업가와 중소기업의 확장 가능한 스마트시티 솔루션 개발 지원
  • 테스트 및 개발 허브: 혁신 솔루션 테스트 및 개선, 협업 및 확장을 통한 효과적 기술 개발
  • 뉴무라바 쇼케이스: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와 환대 서비스를 통한 투자자 전용 목적지

디지털 트윈 비전

발표자료는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 도시 목적지 구축을 위한 디지털 트윈 비전을 제시한다:

  • 설계부터 운영까지 전 단계 뉴무라바 활동 개선
  • 도시 관리 및 모빌리티·에너지 사용 최적화
  • 모빌리티, 물, 에너지에 대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AI 전략

AI 전략은 첨단 인공지능 기술 전면 도입을 통해 자율주행스마트 로봇 등 혁신 기술을 적용한다.

테스트베드 기술

발표자료에 따르면, 7개 혁신 도메인에서 미래 테스트베드 기술을 개발한다:

혁신 도메인: 물, 모빌리티, 지속가능성, 에너지, 인간 중심성, 식품, 건설 환경

우선순위 프레임워크 (5단계):

  1. 적용 가능성: 테스트베드 배치로 혜택을 받는 사용자 그룹 수
  2. 전략적 일치: 뉴무라바 전략 계획과의 일치 정도
  3. 호환성 및 통합: 기존 인프라와의 호환성 및 통합 수준
  4. 경제적 영향: 뉴무라바에 대한 직접적 간접적 가치 창출
  5. 테스트 비용: 연구 및 테스트 수행 비용

뉴무라바 슈퍼앱

발표자료에 따르면, 슈퍼앱은 모든 스마트 서비스 앱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한다:

  • 뉴무라바 주민 및 방문객에게 모든 도시 서비스 제공
  • 도시 네비게이션, 호텔 예약, 레스토랑 예약 등 개인화된 서비스
  • 원스톱 플랫폼을 통한 원활한 서비스 접근

3. 3단계 구축 전략 - Wave 0, 1, 2

Wave 0: 기반 구축 단계

발표자료에 따르면, Wave 0는 미래 스마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술적 기반을 구축한다:

포함 서비스들:

  • 스마트시티 이노베이션 센터(SCIC)
  • 데이터 센터(DC)
  • IoT 네트워크 및 플랫폼
  • 스마트 서비스 네트워크(SSN)
  • 통신 서비스 인프라(TSI)

핵심 인프라:

  • 광섬유 케이블 네트워크
  • AI 기반 데이터센터

Wave 1: 미래를 향한 첫 단계

발표자료에 따르면, Wave 1은 초기 기본 스마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64개 이상의 기본 스마트 및 디지털 서비스:

  • 디지털 사이니지
  • 공공 Wi-Fi 및 분석
  • 전 구역 비디오 감시
  • 스마트 가로등
  • 개인화 마케팅

Wave 2: 첨단 역량 달성 단계

새로 추가된 발표자료에 따르면, Wave 2는 완전한 스마트시티로의 발전을 목표로 한다:

25개 첨단 스마트 서비스 패키지:

  • 모든 차원과 중점 영역에 걸친 선구적이고 첨단적인 스마트 서비스
  • 기존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와 동등한 수준 달성

핵심 서비스들:

  • 스마트 조경(Smart Landscaping): AI 기반 자동 조경 관리 시스템
  • AI 기반 디지털 어시스턴트: 개인화된 도시 서비스 안내 및 지원
  • 자율주행 거리 청소: 무인 자율주행 청소 로봇 시스템
  • 디지털 내비게이션 및 길찾기: AR/VR 기반 실시간 길찾기 서비스
  • 라스트마일 물류: 드론 및 자율주행 로봇 기반 배송 서비스

한국 정부 및 기업의 대응 방안

1. 정부 차원의 전략적 대응

3단계 구축 전략 대응

Wave 0-1-2 단계별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 Wave 0: 기반 인프라 구축 지원 (광섬유, 데이터센터)
  • Wave 1: 기본 스마트 서비스 솔루션 패키지 수출
  • Wave 2: 첨단 AI 기술 및 자율주행 솔루션 수출

스마트시티 K-브랜드 강화

한국 정부는 K-스마트시티 패키지 수출을 지원한다. 정부 간 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기업 진출 지원 및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

2. Wave 2 단계별 한국 기업 진출 전략(안)

스마트 조경 분야

  • LG전자: IoT 기반 스마트 관개 시스템
  • 삼성전자: AI 기반 식물 성장 모니터링 센서
  • 넥스트온: 스마트 조경 관리 플랫폼
  • 효성: 스마트 물 관리 시스템

AI 기반 디지털 어시스턴트 분야

  • 네이버: Clova 기반 다국어 음성 어시스턴트
  • 카카오: 카카오 i 기반 개인화 서비스
  • 삼성전자: 빅스비 기반 스마트시티 어시스턴트
  • LG전자: ThinQ 플랫폼 기반 IoT 통합 서비스

자율주행 거리 청소 분야

  • 현대로보틱스: 자율주행 청소 로봇
  • LG전자: 상업용 청소 로봇 시스템
  • 한화시스템: 자율주행 기술 및 센서 시스템
  • 두산로보틱스: 산업용 로봇 청소 솔루션

디지털 내비게이션 및 길찾기 분야

  • SK텔레콤: T맵 기반 실시간 내비게이션
  • 카카오: 카카오맵 기반 AR 길찾기
  • 네이버: 네이버맵 기반 실내외 통합 내비게이션
  • 현대엠엔소프트: 맵피 기반 정밀 지도 서비스

라스트마일 물류 분야

  • 한진: 드론 배송 시스템
  • 우아한형제들: 자율주행 배송 로봇
  • LG전자: 물류 자동화 솔루션
  • 현대로보틱스: 물류 로봇 시스템

3. 기업별 Wave 2 참여 전략(안)

네이버클라우드 확장 전략

기존 MOU 기반으로 Wave 2 첨단 서비스로 확장:

  • AI 기반 디지털 어시스턴트 고도화
  •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시티 플랫폼 확장
  •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고도화

대기업 컨소시엄 구성

Wave 2 25개 첨단 서비스 대응을 위한 컨소시엄:

  • 삼성그룹: 전자, 물산, SDS 통합 솔루션
  • LG그룹: 전자, CNS, 유플러스 연계 서비스
  • 현대차그룹: 모빌리티, 로보틱스, 건설 통합 패키지
  • SK그룹: 텔레콤, 하이닉스, C&C 기술 융합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특화 전략

Wave 2 틈새 기술 분야 집중:

  • 스마트 조경: 농업 IoT 전문 기업
  • 자율주행 청소: 로봇 전문 스타트업
  • AR/VR 내비게이션: 실감 기술 전문 기업
  • 드론 배송: 무인기 전문 업체

4. 투자 및 금융 전략

Wave 2 단계별 투자 전략

  • 기술 개발: R&D 투자 집중
  • 실증 사업: 테스트베드 참여
  • 상용화: 대규모 배치 투자
  • 운영 서비스: 장기 운영 수익 모델

다양한 투자 방식

발표자료에 제시된 대규모 프로젝트 특성을 고려하여:

  • 조인트벤처(JV) 설립
  • 기술 라이선싱 계약
  • 운영 서비스 계약
  • 장기 유지보수 계약

3단계 구축 전략의 시사점

1. 단계별 진화 모델

뉴무라바의 Wave 0-1-2 단계별 구축 전략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Wave 0: 기반 인프라 (하드웨어 중심)
  • Wave 1: 기본 스마트 서비스 (소프트웨어 중심)
  • Wave 2: 첨단 AI 서비스 (AI/자율주행 중심)

2. 한국 기업 참여 전략의 차별화

각 단계별로 한국 기업의 강점 분야가 달라진다:

  • Wave 0: 통신 인프라, 데이터센터 구축
  • Wave 1: 스마트 디바이스, 플랫폼 서비스
  • Wave 2: AI 기술, 자율주행, 로봇 기술

3.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

Wave 2까지의 단계별 참여를 통해 장기적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

  • 기술 진화에 따른 지속적 협력
  • 현지 기술 이전 및 인력 양성
  • 사우디 비전 2030과 연계한 전략적 제휴

기대 효과 및 시사점

1. 경제적 효과

  • Wave 2 단계 25개 첨단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
  • AI 기술 수출 및 자율주행 솔루션 해외 진출 가속화
  • 장기 운영 서비스 수익 모델 확보

2. 기술적 파급 효과

  • AI 기반 스마트시티 기술 고도화
  • 자율주행 기술 실증 및 상용화 가속화
  • 통합 플랫폼 기술 글로벌 표준화

3. 전략적 시사점

Wave 2 단계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기술 융합 전략

  • AI + IoT + 자율주행 기술 융합
  • 디지털 트윈 + 빅데이터 연계 서비스
  • 클라우드 + 엣지 컴퓨팅 하이브리드 구조

서비스 통합 전략

  • 25개 첨단 서비스의 통합 플랫폼 구축
  • 슈퍼앱을 통한 원스톱 서비스 제공
  • 개인화 서비스 및 예측 서비스 고도화

맺음말

뉴무라바 Wave 2 단계 분석 결과, 이 프로젝트는 기반 구축(Wave 0) → 기본 서비스(Wave 1) → 첨단 서비스(Wave 2)로 진화하는 체계적인 스마트시티 구축 모델을 제시한다. 특히 Wave 2의 25개 첨단 서비스는 AI 기반 디지털 어시스턴트자율주행 거리 청소스마트 조경라스트마일 물류 등 한국이 강점을 가진 기술 분야와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한국 정부와 기업들은 Wave 0부터 Wave 2까지의 전 단계에 걸쳐 차별화된 참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Wave 2 단계의 25개 첨단 서비스는 K-AI 기술K-자율주행K-로봇 기술을 세계에 입증할 수 있는 최적의 실증 무대가 될 것이다.

"Join the Journey to the Future" - 뉴무라바가 제시하는 3단계 진화 모델에 한국이 전략적 기술 파트너로 참여하여 차세대 스마트시티 기술의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할 때이다.


본 칼럼은 사우디 뉴무라바 공식 스마트시티 발표자료와 최신 언론 보도를 종합 분석하여 작성되었음.

참고 자료:

이창호 | C2CP 대표컨설턴트 | 2025.7.4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