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B BOF 2025: 한국 ODA의 MDB 시장 진출을 위한 전환점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아시아개발은행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방안
서론: 변화하는 개발협력 환경과 새로운 기회2025년 9월, 마닐라에서 개최되는 제13차 ADB Business Opportunities Fair (BOF)는 한국의 ODA 생태계에 중대한 전환점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한국은 KOICA의 무상원조와 EDCF의 유상원조를 중심으로 한 양자 협력에서 다자개발은행(MDB) 중심의 글로벌 개발협력으로의 전략적 확장이 필요한 시점에 서 있다. ADB BOF는 단순한 네트워킹 이벤트가 아니라, 연간 400억 달러 규모의 MDB 조달시장에서 한국 기업과 전문가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적인 플랫폼이다. 특히 ADB의 Strategy 2030이 디지털 기술을 5대 우선 분야 중 하나로 설정함에 따라, 한국의 ICT 역량과 스마트시티 경험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발 수요와 정확히 부합하는 기회가 열리고 있다. ADB의 디지털 전략과 한국의 기회1. ADB Strategy 2030의 디지털 우선순위ADB는 Strategy 2030 Digital Technology Directional Guide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포괄적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 영역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및 데이터 인프라: 통신망,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녹색기술을 통합한 회복력 있는 연결성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다. ADB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통해 커뮤니티 역량 강화와 포용적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디지털 공공인프라 및 디지털 정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정부 발전이 불균등한 상황에서, ADB는 정부 서비스, 보건, 교육, 교통, 에너지, 금융 등 핵심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하여 효율성 개선과 접근성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사이버보안 및 데이터 보호: 사이버 위협이 디지털 경제와 사회의 신뢰 기반을 훼손하는 상황에서, ADB는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사이버보안 역량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디지털 스킬 및 리터러시: 낮은 디지털 스킬 수준이 디지털 경제 참여를 제한하는 문제에 대응하여, ADB는 디지털 스킬 교육과 정책 강화를 통해 경제적 포용성을 증진하고 있다. 혁신 및 신기술: AI와 지구 관측 데이터 활용 등 신기술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과 경제 성장 촉진에 집중하고 있다. 2. ADB의 2025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보고서 함의ADB의 2025 Asian Development Policy Report "Harnessing Digital Transformation for Good"은 디지털 기술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강력한 촉매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보고서는 디지털화가 교육, 의료, 금융 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하여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3. 구체적인 사업 기회 영역스마트시티 및 도시개발 ADB는 ASEAN Smart Cities Network와 연계하여 도시 서비스 개선에 중점을 둔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 방글라데시 Smart Cities Development Project: 도시 서비스 개선을 위한 도시 클러스터 지원
- 몽골 국가등록시스템: 290개 지방 행정구역을 온라인 등록 시스템에 연결
- 동남아시아 지역의 환경 개선 프로젝트와 에너지 효율적 기술 도입
전자정부 및 디지털 공공서비스 ADB는 공공 부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AI 기술과 정부 운영 및 시민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의 전략적 접근 방안1. 기존 ODA 채널과의 시너지 창출KOICA-ADB 협력 모델 한국은 e-Asia and Knowledge Partnership Fund를 통해 ADB의 디지털 기술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고 있다. 이 펀드는 행정안전부,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등 한국 정부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역량 강화, 교육, 모범사례 공유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EDCF-ADB 공동 금융 한국은 KOICA(무상원조)와 EDCF(유상원조)를 통해 ADB와 다층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러한 협력은 한국의 개발경험을 아시아 지역에 전수하는 중요한 채널 역할을 하고 있다. 2. 기업 참여 전략한국기업의 ADB 진출 성과 한국기업의 ADB 조달시장 진출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인프라 건설과 기술 서비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주요 성공 사례로는: - 한국수자원공사: 파키스탄 수력개발사업 참여
- 두산중공업·한국전력: 해외 전력사업 진출
- 삼보기술단: 도로건설 감리 분야에서의 성과
MDB 프로젝트의 장점 MDB 프로젝트는 재원 조달이 안정적이고 입찰이 공정하여 역량 있는 한국 기업 진출에 적합하다. 또한 400억 달러가 넘는 MDB 조달시장에서 한국기업들의 프로젝트 수주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3. BOF 2025 활용 전략BOF의 핵심 기능 ADB Business Opportunities Fair는 컨설턴트, 계약업체, 제조업체, 공급업체를 위한 일석이조의 교육 및 네트워킹 포럼으로 기능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에너지, 교통, 물, 도시개발, 농업, 공공관리, 금융, 보건, 교육 등 다양한 섹터의 ADB 전문가들과 직접 네트워킹할 수 있으며, 특히 디지털 기술 분야 전문가들과의 미팅 기회를 제공한다. 1:1 미팅 시스템 등록된 참가자들은 BOF의 예약 데스크를 통해 관련 ADB 섹터 전문가들과의 미팅을 직접 예약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부서의 섹터 및 프로젝트 처리 전문가들, 그리고 ADB 조달·포트폴리오·재정관리부의 조달 전문가들과의 상담이 가능하다.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들1. 차별화된 경쟁력 구축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의 경쟁력 한국의 스마트시티는 혁신적 설계를 통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와 송도 국제도시 등은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서울시는 2022년 스마트시티로 선정되는 등 한국의 도시혁신 역량이 국제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한국 전자정부의 글로벌 리더십 한국은 UN 전자정부 평가에서 3회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전자정부 분야에서 세계적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전자정부 시스템은 발전 과정과 주요 특징에서 다른 국가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2. 인적 네트워크 구축ADB 내 한국의 기여 ADB는 2024년부터 한국 경제재정부와의 Junior Professional Officer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 전문가들의 ADB 내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3. 장기적 시장 접근 전략MDB 시장 진출을 위한 역량 강화 최근 조사에 따르면 건설기업이 단기적으로 갖춰야 할 ODA사업 경쟁력으로는 서류 작성 및 공사 입찰과정에서의 전문적 지식을 보유한 전문인력과 영문 역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기업의 MDB 프로젝트 시장 진출실적은 UN 기구보다 높은 수준이며, 국제개발은행 프로젝트 시장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결론: 전략적 전환의 필요성ADB BOF 2025는 한국이 전통적인 양자 ODA 중심에서 다자 개발협력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중요한 기회다. 특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스마트시티, 전자정부 분야에서 한국이 보유한 선도적 경험과 기술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발 수요와 완벽하게 부합한다. 성공적인 MDB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 정부 차원에서 KOICA, EDCF, 수출입은행 등의 통합적 지원 체계 구축
- 기업 차원에서 장기적 관점의 투자와 역량 강화
- 업계 차원에서 협력과 경쟁의 균형을 통한 생태계 발전
이 모든 요소들이 조화롭게 작동할 때, 한국은 단순한 ODA 공여국을 넘어 글로벌 개발협력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ADB BOF 2025는 이러한 전환을 위한 첫걸음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협력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참조문헌- 산업통상자원부, "우리기업의다자개발은행(MDB)조달시장진출지원", 2023
- Asian Development Bank, "Strategy 2030 Digital Technology Directional Guide", 2021
- Asian Development Bank, "Digital Technology Overview",
- Asian Development Bank, "Harnessing Digital Transformation for Good - Asian Development Policy Report 2025", 2025
- TechNode Global, "Digitalization can reduce persistent inequality in Asia and the Pacific, says ADB", May 2025
- Asian Development Bank, "The Promise of Smart Cities", https://adb.exposure.co/the-promise-of-smart-cities
- Greater Mekong Subregion, "ADB's ASEAN Smart City Initiative", 2023
- ADB Knowledge Events, "Lead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an AI Era", November 2024
- 대한민국 정부, "우리기업의 다자개발은행(MDB) 조달 시장 진출 지원", 2023
- Branding in Asia, "South Korea's Smart Cities: Innovation by Design", August 2024
- Korea.net, "Korean e-government tops UN survey for third time", 2014
- K-Developedia, "Advancement and Main Features of Korea's E-Government"
[그림 1] 출처: Asian Development Bank: ADB 본부(마닐라) 전경 [그림 2] 출처: Asian Development Bank: BOF 행사에서의 네트워킹 모습 [그림 3] 출처: The Equinix Blog: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 [그림 4] 출처: GovInsider : 아시아태평양 지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현황 이창호 | C2CP 대표컨설턴트 | 2025.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