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ODA분야의 주요 이슈와 동향을 전달하고 CEO/ 전문가 칼럼, 프로젝트 리포트를 통해
스마트시티 기반 국제개발 전문지식 허브로서 포지셔닝 합니다.

Column

제목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전환점2025-10-02 18:03
작성자 Level 10

7N6GI4QLGVPKFKSQUERPRDQFPM.jpg241118_greenium_unfccc.jpg21363_37932_5443.png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전환점

기후주류화 시대, 글로벌 파트너십의 새로운 패러다임

지난 10월 1일, 한국 정부조직 개편사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세워졌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을 통합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공식 출범한 것이다. 이는 단순한 부처 통합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을 국가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국제개발협력(ODA) 분야에서 한국의 역할 재정립을 선언하는 전략적 신호탄이다.

김성환 초대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출범식에서 "탈탄소 녹색문명으로의 대전환"을 강조하며,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현재 34GW에서 100GW로 3배 확대하고 '탄소중립산업법' 제정을 통한 시장 메커니즘 기반의 감축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는 국제개발협력 생태계에 어떤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인가?

기후주류화, ODA의 새로운 표준이 되다

'기후주류화(Climate Mainstreaming)'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국제사회는 모든 개발협력 정책과 사업에 기후변화 대응 요소를 통합하는 것을 새로운 표준으로 확립하고 있다. OECD DAC(개발원조위원회)는 2025년부터 모든 회원국에게 ODA 사업의 기후주류화 이행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한국수출입은행(EDCF)은 이미 2021년부터 모든 사업 단계에 기후변화 대응 요소를 반영하는 내부 체계를 도입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은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에 대한 한국의 적극적 대응이다. 기존에 산업부, 환경부, 외교부 등에 분산되어 있던 기후·에너지·환경 기능이 통합됨으로써, 국제개발협력에서 기후 어젠다의 일관성과 효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책변화의 핵심: 통합적 접근과 시장 메커니즘

새로 출범한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차관 4실, 4국·14관, 63과 체계로 편제되어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환경질 개선, 기후재난 대응을 통합적으로 추진한다. 이는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 변화를 의미한다:

첫째, 기후재원의 전략적 활용 확대이다. 한국은 녹색기후기금(GCF)에 2024-2027년 기간 중 3억 달러를 추가 기여하기로 약속했으며, 이는 GCF 전체 기금 128억 달러 중 2.3%에 해당한다. COP29에서 합의된 연간 3천억 달러 규모의 새로운 기후재원 목표 달성에 한국이 중견공여국으로서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탄소중립 기술의 ODA 연계 강화다. 김성환 장관이 언급한 '탄소중립산업법' 제정과 함께, K-Smart City, 디지털 트윈, 재생에너지 기술 등 한국의 우수한 탄소중립 기술을 개발도상국에 전수하는 기술협력 ODA가 대폭 확대될 것이다.

셋째, 민간 참여 활성화를 통한 개발재원 다각화다. 배출권거래제 유상할당 비중 확대, ESG 투자 연계, 혼합금융(Blended Finance) 등을 통해 공적 ODA의 촉매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이 추진될 것이다.

시장 전망: 새로운 기회의 창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은 관련 시장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탄소중립 시장 선점 기회 확대: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청정에너지 시장 규모가 연간 1조 3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한국 기업들이 ODA 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 시장에 조기 진출함으로써 장기적 시장 선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기후적응 인프라 수요 급증: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상현상이 증가하면서 개발도상국의 기후적응 인프라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스마트 방재 시스템, 기후회복력 도시 구축, 조기경보 시스템 등 한국이 보유한 첨단 기술의 수출 기회가 확대될 것이다.

RE100 연계 비즈니스 모델 창출: 글로벌 기업들의 RE100(재생에너지 100%) 이행 압력이 높아지면서, 개발도상국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와 연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부상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ODA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재생에너지 설비를 구축하고, 이를 글로벌 기업의 RE100 이행과 연계하는 윈-윈 모델이 가능하다.

전략적 대응방안: 기회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이 가져올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1. 도시 간 기후협력 플랫폼 구축 개발도상국 도시들과 한국 도시 간의 직접적인 기후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스마트시티와 탄소중립 도시 전환 경험을 공유하고, 도시 단위의 기후적응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는 '도시-도시 기후파트너십'을 확산시켜야 한다.

2. 기후기술 ODA 전문 컨소시엄 결성 한국의 기후기술 기업, 연구기관, NGO가 참여하는 전문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KOICA, EDCF, 다자개발은행(MDB) 프로젝트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특히 디지털 트윈, AI 기반 에너지 관리, 분산형 재생에너지 시스템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기후기술의 융합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3. 기후재원 접근성 강화 GCF, 적응기금(AF), 세계은행 기후투자기금(CIF) 등 국제 기후재원에 대한 접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민간 기업들이 직접 국제 기후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후재원 브리지'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 기관의 육성이 필요하다.

4. 남남협력 및 삼각협력 확대 전통적인 남북협력을 넘어 신흥공여국과의 남남협력, 삼각협력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특히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지역의 신흥경제국과 기후기술 분야에서 상호 보완적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제3국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해야 한다.

결론: 위기를 기회로, 협력을 성장으로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은 한국이 '기후위기 대응'에서 '기후기회 창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전환점이다.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향해 달려가는 지금, 한국은 선진국의 기술력과 개발도상국의 경험을 동시에 보유한 독특한 위치에 있다.

이러한 기회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시민사회가 하나의 목소리로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기후행동에 나서야 한다. 특히 스마트시티, 재생에너지, 기후적응 분야에서 한국의 비교우위를 활용한 '기후 ODA 한국 모델'을 구축하여 글로벌 기후거버넌스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확대해야 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이 단순한 부처 개편이 아닌, 한국이 '기후강국'으로 도약하는 진정한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고, 기술과 사람을 이어주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국제개발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리고 있다.

참고문헌

  1. 기후에너지환경부 (2025). 「기후에너지환경부 공식 출범식 개최」. 보도자료.

  2. KOICA (2025). 「제61회 KOICA 개발협력포럼: 불확실한 시대의 개발협력, 도전과 기회」. 한국국제협력단.

  3. 외교부 (2024).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 폐막」. 보도자료.

  4. 녹색기후기금(GCF) (2024). 「GCF 2차 재원보충 결과 및 2024-2027년 운영방향」. Green Climate Fund.

  5. 한국수출입은행 (2024). 「EDCF 기후주류화 세미나 개최」. 대외경제협력기금 보도자료.

  6.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2024). 「녹색기후기금(GCF) 2기(2024~27년) 운영방향과 시사점」. KIEP 연구보고서.

  7.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 (2024). 「글로벌 에너지 ODA의 추진 동향과 시사점」. KEEI 정책이슈페이퍼.

  8. UNFCCC (2024). COP29 Outcome Document: Baku Climate Finance Goal.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9. 국토연구원 (2023).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국토·도시부문 개발협력정책 방향」. KRIHS 정책연구보고서.

[그림 1] 출처: 조선비즈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출범사

[그림 2] 출처: 그리니엄(greenium.kr)아제르바이잔에서 개최된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

[그림 3] 출처: 광명시뉴스포털(new.gm.go.kr)광명시 탄소중립 스마트시티

이창호 | C2CP 대표컨설턴트 | 2025.10.02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제개발협력# 기후주류화# 탄소중립# 재생에너지100GW# COP29# 녹색기후기금# 스마트시티ODA# 기후재원# K그린뉴딜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
위로 스크롤